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정보

미숙아 망막증 검사 방법 총정리

by ¿※㉿∞ 2022. 9. 25.

아기에겐 병증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때문에 전문의에게 검진을 받아 망막의 상태가 어떠한지 알아야 합니다. 저체중 미숙아에게 발생하는 질환이며, 오늘은 미숙아 망막증 검사 방법과 과정에 대해 알아봅니다.

 

늦게 발견한다면 합병증으로 녹내장, 백내장, 홍채염, 안구 위축, 시력상실 등에 취약할 수 있으니 꼭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받아야 합니다.

 

 

2022.09.25 - [실생활 정보] - 미숙아 망막병증 단계별 치료

 

미숙아 망막병증 단계별 치료

미숙아에게도 망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체중 미숙아인 경우 혈관이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아 눈도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채 태어나 발병될 확률이 높습니다. 단계별 치료 방법과

jjangku.tistory.com

 

미숙아 망막병증 치료 종류
  • 유리체강 내 약물 주입술
  •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

 

 

미숙아 망막병증 검사 방법 및 조건

출생 후 4~6주이며 재태주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재태주수 란? 엄마 뱃속에 있었던 주 수]

 

  • 출생체중 1.5kg 미만 또는 재태연령 32주 미만의 미숙아 모두
  • 출생체중 1.5kg~2.5kg 또는 재태연령 32주 이상에서 불안정한 임상 결과를 보인 경우

 

 

미숙아 망막병증 검사 치료 과정

1. 진정제를 투여해 아기를 재운 뒤 최대한 안정된 상태에서 침상 옆에서 시행한다.

2. 유리체강 내 약물 주입술 또는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를 시행해 30분~1시간 소요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