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 내시경 수면 VS 비수면 뭐가 나을까?

by ¿※㉿∞ 2022. 10. 26.

보통 수면내시경으로 진행되는 비율이 비수면 내시경으로 진행되는 비율보다 훨씬 많습니다. 이유는 내시경이 입을 통해서 삽입되는 성인 새끼손가락 정도의 굵기의 스콥이라고 표현되는 내시경의 관이 목을 통해서 넘어가는데 목의 적당한 압박감과 경미한 통증 정도를 유발하게 됩니다.

 

80% 수면이고 20%가 비수면인데 특히 젊은 층이 구역 반사가 더 심하기 때문에 오히려 젊은 사람들은 수면내시경을 더 많이 하고, 약간 연세가 있으신 분들은 수면내시경이 70세 이상 정도 되면 수면내시경이 조금 위험할 수 있다는 생각이 있어서 조금 덜 진행하시는데, 수면 진정 교육을 받은 전문의를 통해서 수면내시경을 하게 되면 더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니 두려움 갖지 마시고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비수면으로 진행하는 경우

이때 넘어가는 느낌이 불쾌할 수도 있고 계속되는 구역질이 나오고 위를 관찰할 때 우리가 위를 팽창시켜서 봐야 되기 때문에 공기를 주입해서 보는데,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 때문에 지속적인 트림이 반복적으로 나오게 됩니다. 관찰하는 시술자도 관찰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환자도 반복적인 구역감과 트림 때문에 굉장히 불편을 겪게 됩니다.

 

 

수면으로 진행하는 경우

하지만 수면으로 진행됐을 때는 환자가 목을 넘길 때 불편감과 트림과 구역감이 굉장히 감소돼서 시술자도 환자도 수월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요즘엔 수면 내시경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