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정보

길랑바레증후군 후유증 있나

by ¿※㉿∞ 2022. 10. 1.

염증성 질환으로 바이러스로 인해 발병돼 여러 육체적 통증을 앓는 질환입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길랑바레 증후군이 많은 이들에게 나타났습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에 대한 내용과 후유증도 있나 알아봅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이란

신경세포를 둘러싸 보호하는 '수초'가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공격을 받아 신경세포에 손상이 가는 자가면역 감염성 질환으로 신경세포가 공격받게 되면 제기능을 하지 못해 몸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여러 증상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길랑바레 증후군 후유증

완화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리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회복되는 데에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릴 수 있으며, 크게 호흡의 기능의 저하, 다리 근육 위축, 체력 저하, 어지러움증 호소 등의 후유증이 남아 재활 치료와 스스로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만큼 회복하기 어려운 만성 신경 질환으로 환자의 2~5% 정도만 완전하게 회복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길랑바레 증후군 원인

  •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이 근본적 원인으로 유발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바이러스(ex) 코로나, 독감, 인플루엔자 및 각종 바이러스)
  • 식중독, 폐렴
  • 약물(다나졸, 캡토프릴, 다나졸, 페니실린, 스트렙토키나제)
  • 급성 질환
  • 위장 벽 질환
  • 예방접종(백신)

 

 

길랑바레 증후군 증상 총정리

  • 다리가 저리거나 감각이 마비되고 힘이 약해지며 통증이 동반된다.
  •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고 혈압이 오른다.
  • 안면 마비로 시작해 턱 근육의 힘이 약해져 음식 씹는 것이 어렵다.
  • 어지러움을 동반하며 눈앞의 사물들이 흐리게 보인다.
  • 식은땀이 계속 난다.
  • 가슴이 두근거린다.
  • 소변이 잘 나오질 않는다.

 

 

길랑바레 증후군 진단 방법

MRI, CT촬영을 하며 뇌척수액 검사전기생리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길랑바레 증후군 치료 방법

약물치료가 대표적이며 두 가지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1. 혈장 분리 반출술

원심분리기를 통해 혈장 내의 독소를 제거하는 방법

 

2. 면역글로불린 주사

질병의 원인 되는 물질 대신 결합하여 약을 투여해 자가면역 치료를 유도하는 방법

 

 

2022.10.01 - [실생활 정보] - 길랑바레증후군 자연치유 가능한지

 

길랑바레증후군 자연치유 가능한지

길랑바레 증후군에 발병되고 나면 몸이 쇠약해집니다. 현재 효과 있는 치료제는 없습니다.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약물 치료를 통해 호전은 기대할 수 있지만, 그것보단 예방법을 통해 자연치유

jjangku.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