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전 아이에게 가장 흔하게 아토피 피부염이 나타나는 곳은 뺨, 배, 팔, 다리의 펴지는 부분입니다. 흔히 태열이나 습진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주로 건조하고 붉은 발진이 나타나는데 아이가 자라면서 피부가 두꺼워지는 만성 병변이 함께 나타납니다.
목이나 팔 그리고 다리의 접히는 부위에 많이 생기며 심하면 진물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두둘 전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이 20% 정도 되어 아이들의 4~5명 중 한 명은 피부 증상을 경험합니다. 그만큼 우리 주변의 아이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만성 피부 질환입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정의
면역학적 이상과 피부 장벽 기능 이상으로 피부에 알레르기 염증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면역학적 이상 : 피부나 면역 시스템에 반응을 보이지 않아야 하는 물질에 대해 이상 반응을 나타내는 것.
피부 장벽 기능 : 피부의 보호 기능 때문에 문제가 생겨서 외부 물질이 피부에 잘 침입할 수 있고 피부 안의 습기가 과도하게 빠져나가는 상태가 되는 것.
아토피 피부염 원인
지질, 장벽 단백질과 같은 중요한 성분이 줄어들면서 피부를 보호하는 벽이 무너지게 되고, 또 점점 더 심해지면 피부 장벽이 망가져서 외부로부터 나쁜 균과 알레르기 물질이 쉽게 피부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겁니다.
유전적 요인
알레르기가 있는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발생률이 약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엄마의 알레르기 성향이 아빠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환경적 변화
미세먼지, 대기오염 이외에도 다양한 환경 요인이 존재합니다. 그밖에 식습관, 온도, 습도, 다양한 소재의 옷, 담배 연기, 침 등의 자극 물질 등 아이들 아토피 피부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한 번 아토피 피부염 생기면 평생 갈까?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질환이지만 불치병은 아니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관리하면 완치 가능합니다. 생후 100일 전후에 많이 생기고 만 1~2살까지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지면서 반복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치료를 하더라도 증상이 계속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이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어릴 때 주로 생기는 아토피 피부염은 경과가 좀 좋은 편입니다. 보통 신체 기능이 미숙해서 일시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기능들이 나아지면서 점차 피부도 깨끗해질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