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정보

담낭절제술 후 합병증 부작용 있나 봤더니

by ¿※㉿∞ 2022. 10. 6.

개복수술에 비해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비교적 안전한 수술이지만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감염
2. 주위 조직 손상
3. 투관침으로 인한 손상
4. 기복에 의한 합병증

 

담낭절제술 합병증과 부작용

  • 감염

다른 대부분의 수술과 마찬가지로 복강경 담낭절제술 또한 스스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상처에 감염이 발생하면 소독과 재봉합 등 상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복강 내부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는 항생제 치료와 함께 필요시 배액관을 삽입하기도 합니다.

 

  • 주위 조직 손상

담낭 주변의 혈관이나 담관의 해부학적 구조에 변이가 있는 사람이나 염증으로 인해 조직이 잘 구분되지 않을 경우 수술 과정에서 혈관이나 담관 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손상된 혈관에서 다량의 출혈이 발생하여 수혈이 필요할 경우 매우 드물지만 간염이나 에이즈 등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담관이 손상될 경우 담즙 노출이나 복막염 황달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항생제 치료나 배액관 삽입 수술적 치료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투관침으로 인한 손상

투관침을 삽입할 때 시야를 확보하지 못한 기구가 삽입되기 때문에 드물지 않지만 복강 내 장기나 혈관 등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복 수술로의 전환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기복에 의한 합병증

복강경 수술 시에는 시야를 확보하고 기구를 삽입하기 위해 복강 내부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는데 그로 인해 횡격막이 압박되고 이산화탄소가 흡수되어 심폐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혈관 내로 흡수된 이산화탄소가 기포를 형성하면서 혈관을 막는 가스 색전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및 다른 치료방법

복강경 수술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복수술을 통해 담낭을 전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처가 크게 남고 통증이 심할 뿐 아니라 회복기간과 입원 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