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정보

간암 생존률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by ¿※㉿∞ 2022. 10. 19.

간암은 발생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간을 이루고 있는 간세포에서 생겨난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악성 세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한 증식해 간 전체 또는 간 밖으로 퍼져 생명을 잃게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간경변증이란

간의 오랜 염증으로 간세포가 파괴되고 흉터 조직으로 대체되어 간이 굳어지고 쪼그라든 상태

 

 

간암 생존율

간암은 불행히도 현재까지 생존율이 낮은 암중에 속합니다. 폐암, 담낭암, 췌장암 등과 마찬가지로 간암은 5년 생존율이 낮으며, 90년도엔 5년 생존율이 10%에 머물렀지만 현재 의학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30% 이상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간암의 병기별 생존율은

 

  • 1기 생존율 : 52%
  • 2기 생존율 : 36%
  • 3기 생존율 : 15.5%
  • 4기, 5기 생존율 : 10% 이하

 

간의 기능

  • 영양소의 가공, 저장
  • 해독작용, 면역 기능
  • 단백질(알부민, 혈액응고 인자 등) 생산

 

간암 원인

간암은 주로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발생합니다. 간암의 대표적 위험인자로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질환, 지방 간질환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B형 간염 및 C형 간염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은 간암 예방에 가장 중요한 첫 단계입니다.

간염 감염률 수치

B형 간염 : 2.9%

C형 간염 : 0.7~1.4%

 

 

초기 증상

  • 대부분 무증상
  • 오른쪽 윗배 통증
  • 오른쪽 갈비뼈 아래 통증
  • 덩어리 만져짐
  • 체중 감소
  • 심한 피로감

 

 

간암 진단 방법

간암은 조직 검사로 최종 진단되기도 하지만 조직검사 없이 CT, MRI 등 영상 검사 소견과 임상 소견을 종합해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방법

기존의 치료 방법은 만성 간염을 앓고 있던 간에서 발생한 암은 그 부위를 일부 수술을 통해 제거하거나 고주파를 이용해서 해당 부위를 태우거나, 색전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을 이용해서 간세포를 죽이는 방법으로 간세포암을 치료해왔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방법은 환자분이 가지고 있는 간의 만성염과 간경화를 동시에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바로 이때 치료의 대안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 간이식입니다.

 

간 이식 

안전하고 성공적인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중증 간이식 환자의 경우 영양 치료와 재활 치료로 성공률을 향상하고 있습니다. 10년 이상 장기 생존율이 향상됩니다.

 

간 절제술

간암 부위를 절제하는 치료법으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꼽히며 수술 후 5년 생존율이 60% 조기 간암의 경우 80%에 이릅니다.

 

고주파 열치료

작은 간암의 내부 주변에 고주파 전극을 삽입해 발생하는 열로 종양을 파괴하는 치료법으로 무통 마취를 통해 편안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간동맥 색전술

대퇴동맥을 통해 간동맥에 삽입하고 항암제와 색전물질, 혹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투여해 암을 괴사시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방사선 및 양성자치료

첨단 방사선 치료 기법의 개발로 최근 간암에서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수술이나 고주파 열치료법을 대체해 이에 버금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