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정보

심부정맥혈전증 증상과 원인

by ¿※㉿∞ 2022. 10. 10.

피부 표면에 있는 표재 정맥의 혈액들이 심부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혈전이 생겨 막히면서 여러 부종이 생기는 질환을 '심부정맥 혈전증'라고 합니다.

 

 

심부정맥 혈전증 질환이 위험한 이유

다리 정맥에 혈전이 발생해 부종을 유발하는 질환인데 심부정맥에 쌓이는 혈전은 다리에 혈류가 흐르며 녹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때문에 급성으로 인해 다리를 잃게 되거나 심각한 상황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 질환이 위험한 이유는 다리 정맥에 있는 혈전이 심장을 거쳐 폐동맥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다량의 혈전이 막게 되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심부정맥 혈전증 원인

1. 정맥에 혈류의 속도가 떨어지는 상황

어떤 질환으로 인해 누워있는 경우 거동이 줄어 혈류의 속도가 느려져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 외에 복부 종괴, 임신으로 인해 복부의 혈관들이 압박받아 혈류가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2. 몸에 혈전이 자주 발생되는 성향으로 변화

악성종양, 외상, 수술, 선천적 혈액, 혈소판 질환 등으로 인해 피가 남들보다 잘 굳는 성향으로 변해 혈전이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3. 혈관 내막에 손상이 생기면서 발생되는 상황

코팅된 정상적인 혈관 내피세포는 저절로 혈전이 쌓이지 않지만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이 되면 혈소판 등 응고인자들이 연속적 반응으로 혈전이 발생하게 되고 외상, 수술, 혈관의 직접적인 손상, 투여되는 약물 등에 따라 혈전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심부정맥 혈전증 증상

다리의 피가 올라가지 못해 쌓여 부종이 발생해 다리가 붓게 됩니다. 이 부종은 72시간 내 단기간으로 붓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다리에 울혈이 발생되어 붉게 변하면서 다리의 체온도 올라가게 됩니다. 종아리 근막에 부종이 발생하면 발목, 종아리가 움직일 때 극심한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간호 진단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진단은 영상검사이고 그중에서 '초음파 검사'가 가장 정확합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맥이 말랑말랑하게 눌러지는지, 혈관 내부가 막히지 않고 혈류가 잘 흐르는지 관찰 후 진단합니다. 초음파 검사는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방사선 노출이 없으며 비침습적이라 환자에게 안전하게 시행됩니다.

 

 

심부정맥 혈전증 치료 방법

항응고 치료

혈액이 응고되지 않게 하는 약물 치료로 Warfarin(와파린), Noac(노악) 약물 사용하는데, 이러한 약물들이 체내의 혈관에 들어가면 피가 응고되어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치료 기간은 수주 혹은 수개월이 걸립니다.

 

혈전용해 치료

혈전을 빨리 녹여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혈전을 녹이는 성분을 인공적으로 투여합니다. 혈전용해 치료는 빨리 혈전이 없어지지만 항응고 치료에 비해 출혈 위험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조심히 사용합니다.

 

스텐트 치료

혈관이 좁아져서 혈전이 발생하는 경우 뼈나 다른 혈관에 의해 외부에서 눌려져서 혈액이 정체, 혈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스텐트 치료를 합니다. 

 

 

「운동 및 예방법

같은 자리에 오래 앉아있지 말고 자주 일어나서 걸어줍니다. 다리 근육이 움직이면 근육을 짜주면 혈액이 순환되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술, 질병 등으로 인해 같은 자리에 오래 누워 있는 경우 심부정맥 혈전증의 고위험군에 속하니 꼭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압박스타킹을 착용하거나 다리 공기압 마사지를 이용해서 다리 근육을 자극해 다리의 혈관을 자극해주면 예방됩니다. 다리가 붓고 위와 같은 증상이 느껴질 때는 가까운 병원을 찾아 상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