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노인인구가 증가해 눈의 노화로 인한 망막변성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했습니다. 변성 근시가 그중 하나입니다. 근시는 가까운 것은 잘 보지만 먼 것을 잘 보지 못하는 굴절 장애 질환으로 대부분 안경을 쓴다고 하면 근시의 이유일 것입니다.
변성 근시란?
근시라 하면 가까운 것은 잘 보이지만 먼 것은 보이지 않는 질환입니다. 더 나아가 변성 근시는 굴절력이 6.0 이상 안구의 길이가 26mm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변성 근시는 눈 속의 필름 역할을 하는 조직인 망막의 중심부 황반부에 후포도종이나 맥락 망막변성 등 퇴행성 변화가 동반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망막 중심부의 점진적 맥락망막변성이 있는 것으로 망막 주변에 생기는 격자변성, 포석상변성, 망막열공 등이 생길 수 있는 질환입니다.
변성근시 원인
멀이 들어오는 빛이 망막에 초점을 정확히 맺지 못해 멀리 있는 물체가 보이지 않아 시력이 감소합니다. 과도한 근거리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녹내장 당뇨망막증과 함께 3대 실명 원인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변성 근시 치료 및 예방
눈의 노화를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40대가 되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눈 이상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눈에 맞지 않는 도수를 사용할 경우 피로도가 쌓여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1년에 한 번 안과에 방문해 시력 검사와 근시 진행도를 확인하고 자신의 눈에 맞는 안경 도수를 맞춰 착용해야 합니다.
2022.09.14 - [실생활 정보] - 녹내장 자가진단 테스트 하는법과 초기증상
2022.09.24 - [실생활 정보] - 당뇨망막병증 수술 비용 얼마
댓글